구글, 암세포 감지하는 'AI·AR 현미경' 개발
작성자
문 지성
작성일
2018-04-18 16:56
조회
1421
구글이 암세포를 감지해서 알려주는 증강현실(AR) 현미경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고 미국 IT매체 엔가젯이 16일(현지시간) 보도했다.이 기술은 16일 열린 미국 암 연구협회(American Cancer Research) 연례 회의에서 소개된 내용이다.
-----
의사들이 암을 진단할 때 조직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, 이 과정은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다. 구글은 이 과정에서 딥러닝 기술을 광학 현미경에 적용했다.
https://cdn.clien.net/web/api/file/F01/6885887/5d58e21a7ae284.jpg
AR 현미경에 사용되는 AI 기술은 신경망을 통해 사람의 조직 사진에서 암세포를 검출하도록 학습을 거친다. 그 다음 조직세포가 AR 현미경 슬라이드에 놓이면 렌즈를 통해 보이는 이미지가 컴퓨터에 입력된다.
인공지능은 입력된 사진을 분석해 암세포를 감지한 다음 사람이 잘 볼 수 있도록 암 세포 부분에 윤곽선을 표시해 준다. (위 사진 참고)
이 모든 작업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미경 배율을 바꾸거나 슬라이드 위치를 이동시켜도 문제없이 암세포를 검출해 낼 수 있다.
-----
연구진은 현재까지 유방암, 전립선 암에 해당 기술을 적용했고, 이 시스템이 암 세포 검출에 정확함을 보여줬다고 밝혔다. 구글은 향후 이 기술이 결핵, 말라리아와 같은 전염병 뿐 아니라 다른 암 발견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.
출처 : http://www.zdnet.co.kr/news/news_view.asp?artice_id=20180417140831&type=det&re=
-----
의사들이 암을 진단할 때 조직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, 이 과정은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다. 구글은 이 과정에서 딥러닝 기술을 광학 현미경에 적용했다.
https://cdn.clien.net/web/api/file/F01/6885887/5d58e21a7ae284.jpg
AR 현미경에 사용되는 AI 기술은 신경망을 통해 사람의 조직 사진에서 암세포를 검출하도록 학습을 거친다. 그 다음 조직세포가 AR 현미경 슬라이드에 놓이면 렌즈를 통해 보이는 이미지가 컴퓨터에 입력된다.
인공지능은 입력된 사진을 분석해 암세포를 감지한 다음 사람이 잘 볼 수 있도록 암 세포 부분에 윤곽선을 표시해 준다. (위 사진 참고)
이 모든 작업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미경 배율을 바꾸거나 슬라이드 위치를 이동시켜도 문제없이 암세포를 검출해 낼 수 있다.
-----
연구진은 현재까지 유방암, 전립선 암에 해당 기술을 적용했고, 이 시스템이 암 세포 검출에 정확함을 보여줬다고 밝혔다. 구글은 향후 이 기술이 결핵, 말라리아와 같은 전염병 뿐 아니라 다른 암 발견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.
출처 : http://www.zdnet.co.kr/news/news_view.asp?artice_id=20180417140831&type=det&re=
전체 0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
전체 9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추천 | 조회 |
9 |
Google 직원 수십명이 AI의 군사 이용에 항의하여 집단 사임
문 지성
|
2018.05.24
|
추천 0
|
조회 848
|
문 지성 | 2018.05.24 | 0 | 848 |
8 |
MS, C# 코딩 돕는 AI 도구 공개
문 지성
|
2018.05.24
|
추천 0
|
조회 1719
|
문 지성 | 2018.05.24 | 0 | 1719 |
7 |
Google, 행동 강령에서 "Don't Be Evil" 조항 삭제
문 지성
|
2018.05.24
|
추천 0
|
조회 2450
|
문 지성 | 2018.05.24 | 0 | 2450 |
6 |
국내 연구진, 회전운동하는 빛의 축 전환 기술 세계최초 개발
문 지성
|
2018.05.24
|
추천 0
|
조회 553
|
문 지성 | 2018.05.24 | 0 | 553 |
5 |
마이크로소프트, 20여년 전 파일관리자 소스 공개
문 지성
|
2018.04.18
|
추천 0
|
조회 804
|
문 지성 | 2018.04.18 | 0 | 804 |
4 |
ETRI, 400기가 광 송·수신 부품 개발
문 지성
|
2018.04.18
|
추천 0
|
조회 758
|
문 지성 | 2018.04.18 | 0 | 758 |
3 |
Intel, CPU SPI Flash 취약점 공개
문 지성
|
2018.04.18
|
추천 0
|
조회 803
|
문 지성 | 2018.04.18 | 0 | 803 |
2 |
마이크로소프트, 역사상 최초 자체 개발 리눅스 배포
문 지성
|
2018.04.18
|
추천 0
|
조회 1081
|
문 지성 | 2018.04.18 | 0 | 1081 |
1 |
구글, 암세포 감지하는 'AI·AR 현미경' 개발
문 지성
|
2018.04.18
|
추천 0
|
조회 1421
|
문 지성 | 2018.04.18 | 0 | 1421 |